간수치가 높으면 어떻게 될까? 영양제와 낮추는음식까지 알아봐요
먼저 알아야 되는 것이 바로 '간의 역할'이다. 간은 우리 몸의 대사의 중심에 있는 장기이다. 몸의 호르몬 균형을 맞춰주면서 해독과 살균 작용을 담당한다. 해독 외에도 체내에 있는 세균들과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균 등을 막아내는 면역 기관 역할까지 한다.
여기에서 간수치는 간세포 내 합성을 통해 존재하는 효소를 말한다. 그 효소로는 AST, ALT등 활성도를 측정한 값으로 정상 범위는 0~40 IU/L로 측정되어 있다. 간수치의 정상 범위를 넘어가게 되면 간 기능이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면역력 저하, 소화 불량, 복부 통증, 황달 등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부분은 간은 특별한 증상이 눈에 띄지 않아 일상 생활에 있어서 잦은 음주와 잘못된 식습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만성 피로감이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AST
효소 AST는 GOT로도 불리는데 이는 간세포 이외 심장, 신장, 뇌 근육 등에도 존재한다. 세포가 손상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ALT
주로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 GPT라고 한다. 간세포가 손상 받는 경우에는 농도가 눈에 띄게 증가한다. 간에서만 특징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간수치 지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여긴다.
간수치가 높아지는 이유
잦은 음주와 스트레스
현대인들에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잦은 음주와 업무 스트레스이다. 특히 과음할 시에는 간에서는 알코올을 분해하고 해독해야 하는 과정에서 무리를 주게 되고, 이에 간수치가 빠르게 올라간다. 이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술을 마시게 된다면 알코올성 간염으로 간 세포가 파괴된다. 그러면서 염증이 생기고 발열, 황달, 복통, 간기능 장애가 유발된다.
만성간염
우리나라에서는 만성감염으로 A,B,C형 간염 환자들이 있다.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 약물, 알코올 등으로 발병할 수 있다. 자신도 모르게 감염이 되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지속기간에 따라 6개월 이내는 급성 간염, 6개월 이상은 만성 간염으로 구분한다. 이때 치료시기를 한 번 놓치게 되면 만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만성 간염은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해야 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면서 염증을 완화해야 한다
간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대변 소변 색깔부터 바뀐다
간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하면 소변에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진다. 이에 소변의 색이 진해지고 변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대변은 빌리루빈 농도가 낮아지면서 색 자체가 뿌옇게 변할 수 있다.
간수치 낮추는 음식
견과류 호두
호두 안에는 스트레스의 심혈 관계 반응을 무디게 하는 성분이 있다. 뇌세포의 활성화를 촉진 시키면서 기분까지 영향 주는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수치를 높이는 오메가3 지방산까지 풍부하다. 호두는 견과류 중에서도 단연 지방간 질환을 줄일 수 있는 폴리페놀 항산화 성분이 특징이다.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간 건강을 높이는 데에 다양한 이점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도 아보카도를 적당히 섭취하자 체중 감소는 물론이고 전반적으로 간 기능 수치가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아보카도 안에는 좋은 콜레스테롤의 HDL 수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간 질환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 외에 간을 지키기 위해서는 골고루 음식 섭취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섬유소가 많은 채소와 과일을 꾸준하게 섭취할 것을 권장하며, 오메가3가 풍부한 영양제도 함께 챙기면 좋다. 일주일에 세 번 이상 땀이 날 정도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간을 지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꿀팁] 메이준뉴트리 간 기능 개선 영양제로 회복 관리해요
[꿀팁] 밀크씨슬 효능 부작용없이 만성피로원인알고 간에좋은영양제 챙겨봐요
풋사과 다이어트 요요없이 효능 (0) | 2020.09.09 |
---|---|
역류성식도염증상 가슴통증 원인 (0) | 2020.09.08 |
천기누설 오크라 무엇일까 효능과 요리법 배워봐요 (0) | 2020.09.07 |
마그네슘 부족증상 눈떨림 무엇일까? 영양제 관리해요 (0) | 2020.09.07 |
오메가3 효과 부작용 알고 고르는법 (0) | 2020.09.05 |
댓글 영역